schd 와 qld 와 비트코인 etf 를 30년 동안 꾸준히 모아갈 수 있다면 노후에도 생활비와 병원비 걱정없이 편안하게 영원히 행복하게 살 수 있습니다. schd 는 매월 배당금을 지급해주는 etf 이며 매월 받은 배당금으로 나스닥100 지수 ETF의 2배로 상승하는 QLD 와 같은 2배 레버리지 ETF 를 꾸준히 모아갑니다.
전체 투자 자산의 5% 내외로 비트코인도 꾸준히 적립식으로 모아가면 4년 마다 비트코인 반감기가 도래하므로 30년 동안에 최소한 7번의 반감기를 맞이하게 됩니다. 비트코인은 반감기를 맞게 되면 예전 반감기 시절의 가격의 50% 에서 100% 정도 오르는 경향성을 보여주었습니다. 어떻게 해야 SCHD 와 QLD 및 비트코인 ETF 를 30년 동안 동일한 금액으로 적립식으로 모아갈 수 있는지 자세히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SCHD 와 QLD 및 비트코인으로 자산 배분 투자를 20년간 지속하였을 때 자산이 얼마나 증가하는지 자세하게 따져보았습니다. 제가 은퇴 연금을 준비하면서 다양한 고민들을 계속 하던 중에 부동산 카페에서 좋은 아이디어를 제안해 주셔서 진지하게 분석하게 되었습니다.
여러분께서도 포스팅 자료를 참고하셔서 여윳돈으로 조금씩 연금을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본 포스팅 글은 참고 자료에 불과합니다. 투자의 책임과 손실은 투자자 본인에게 귀속되므로 신중하게 판단하셔서 연금을 준비하시기를 바랍니다.
Table of Contents
네이버 부동산 카페에서 한 회원께서 올려주신 SCHD 70% + QLD 25% + 비트코인 5% 자산 배분 투자 전략이 매우 실용적으로 보였습니다. 2024 년도에 유튜브 경제 유튜버들께서 SCHD 의 월 배당금 만으로 한달에 300만원을 월급처럼 받을 수 있다고 홍보를 많이 하셨습니다.
제가 직접 계산해 본 바로는 14억 현금으로 SCHD 를 매수하면 일년 기준으로 3.3% 배당금을 받아서 매월 3.3/12 % 의 배당금을 받게 됩니다. 계산해 보니까 385 만원을 수령하게 됩니다.
은퇴 연금의 적: 지역 건강 보험료
일년에 부동산 임대 소득과 주식 배당금을 합산하여 2,000만원을 넘게 되면 퇴직한 개인도 지역 건강 보험에 자동으로 가입이 되면서 수익금의 9%를 건강 보험료로 납부해야 합니다. 은퇴해서 SCHD 에서 배당금을 받아서 생활하시려는 분들께는 매우 치명적인 손실입니다.
현실적으로 은퇴 자금으로 집을 제외하고 현금 14억을 보유하기 어렵습니다. 아울러, SCHD 를 14억원 매수하더라도 매월 385만원을 수령하는 경우에는 34만 6500 원을 건강 보험료로 납부해야 합니다.
은퇴 연금 자산으로 SCHD 만 보유하기 보다는 다른 다양한 자산을 편입하여 건강 보험료를 낮추는 방법에 대해서 고민하게 되었습니다.
국내 연금 저축 계좌 또는 IRP 계좌 또는 DC 계좌에서 연금 자산으로서 SCHD 를 직접 매수할 수 없습니다. 국내 연금 계좌 에서 매수가 가능한 ETF 로는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 가 있습니다. ETF 1주에 13,045 원으로 미국 나스닥 시장에서 SCHD 를 직접 매수하는 것보다 저렴한 가격에 여러 주를 매수할 수 있어서 편리합니다.
저는 앱테크를 해서 모은 2만원을 연금 저축 계좌로 이체한 후에 여윳돈이 생길 때 마다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 ETF를 사서 모으고 있습니다.
연금저축 계좌 또는 IRP 계좌 또는 DC 계좌에서 미국 나스닥에 상장된 QLD 와 유사한 나스닥 지수 2배 레버리지 상품을 매수하시려면 TIGER 미국나스닥100레버리지(합성) 을 매수하시면 됩니다. 미래에셋에서 출시한 ETF 로서 국내 연금 계좌에서도 매수가 가능합니다.
연금 저축계좌 또는 IRP 계좌 또는 DC 계좌에서 ETF를 매수하면 분배금에 대해서 세액공제와 이연과세가 적용됩니다. 일년에 IRP 에 300만원 세금 공제 혜택이 주어지고 연금 저축 계좌에는 600만원의 세금 공제 혜택이 주어집니다. 분배금에 대해서는 만 55세 이후에 출금을 할 때 5.5% 의 세금을 적용하게 됩니다. 이것을 과세이연이라고 합니다.
월 배당의 최강자 SCHD 를 알아봅시다
SCHD 는 미국 주식 시장에는 상장된 지 오래된 월 배당 ETF 로서 매월 배당금을 지급해주고 매년 배당금을 지급하는 금액이 증가하여 인기가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국내 여러 증권사에서 SCHD 와 비슷한 월 배당 ETF 상품을 출시하였습니다.
연금 저축 계좌와 IRP 계좌 및 DC 계좌에서 가장 유명한 월 배당 ETF 는 TIGER 미국배당 다우존스 ETF 입니다. 미래 에셋 증권에서 미국 본토의 SCHD 와 동일한 배당 지수를 바탕으로 ETF 상품을 만들어서 매월 배당금을 지급하는 것도 동일하고 매년 배당 성장률도 증가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출시된 후로 아직 1년이 지나지 않아서 실제 배당 성장률이 얼마나 되는지는 정확히 알 수는 없습니다. 미국 주식 시장의 SCHD 를 벤치 마킹했으므로 매달 배당금을 지급해 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며 매년 배당 성장률도 13% 정도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QQQ 2배 레버리지 ETF 인 QLD 를 알아봅시다
QLD 는 나스닥100 지수가 움직이는 지수를 2배로 레베리지한 지수를 추종하는 ETF 입니다. 나스닥100 지수를 추종하는 QQQ 지수의 상승률의 2배 정도 상승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레버리지 ETF 상품은 장기간 적립식으로 모아가더라도 원금의 손실이 있다고 알려져 있었으나 네이버 부동산 카페에서 QLD 를 20 년간 모아가면 20년 후에는 20년 후의 물가 상승을 고려하여도 QLD 는 26배가 증가하는 것으로 백테스팅을 통하여 증명하였습니다.
나스닥 지수 변동의 2배로 움직이는 QLD 는 레버리지 상품이라서 장기간 보유하면 원금이 줄어들어서 손해가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습니다. 하지만, 20년 백테스팅 결과 QLD를 매일 꾸준히 정기적으로 동일한 금액을 매수하면 26배로 자산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자산을 더욱 빠르게 증가시키려면 매일 동일한 금액을 QLD 를 매수하다가 나스닥 지수가 10% 가 하락하면 매일 적립하는 금액을 2배로 증가시키면 자산의 증가 속도는 더욱 빨라집니다. 이때 매일 적립하는 금액을 1만원 정도로 부담없는 금액을 설정하고 미래에셋 증권의 MTS 또는 토스증권 앱의 MTS에서 모으기 기능을 활용하여 매일 매일 적립할 수 있습니다.
블랙록에서 출시한 비트코인 ETF 인 IBIT 알아봅시다
블랙록에서 발빠르게 현물 비트코인으로 ETF 상품을 만들어서 출시하였습니다. 블랙록 현물 비트코인 etf 를 www.investing.com 에서 검색하려면 티커를 IBIT 로 검색해 주시면 아래의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블랙록에서 비트코인 etf 를 2024년 1월에 출시하였습니다. 최초에 상장된 가격은 27.94달러 였는데 2024년 11월 13일 현재 가격은 51.05 달러입니다. 무려 83% 가 상승했습니다. 월 평균 7.5% 를 상승하였습니다.
블랙록 비트코인 ETF 는 티커거 IBIT 입니다. 연금 저축 계좌에서는 매수할 수 없고 일반 해외 계좌에서만 매수가 가능합니다.
트럼프의 비트코인 전략 자산 비축 정책
트럼프가 대통령 당선이 확실해 지는 순간부터 비트코인 가격이 상승하기 시작하여 이틀이 지난 후에는 9만 달러를 돌파하였습니다. 원화로 환산하면 1억원을 훌쩍 뛰어 넘은 것입니다. 비트코인이 계속 오르는 이유는 트럼프가 대선 공약으로서 비트코인을 석유와 같은 전략 자산으로서 간주하고 지속적으로 매수하겠다고 약속하였기 때문입니다.
전략 자산이란?
국가의 패권을 유지하기 위하여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자산을 의미합니다. 군사적으로는 핵무기가 있고 자원으로는 원유와 천연가스가 있습니다. 트럼프는 디지털 시대에는 비트코인이 전략 자산으로서 가치를 가진다고 판단하였으며 지금까지 비트코인 채굴을 가장 많이 했던 중국보다 더 많은 비트코인을 국가 예산을 동원해서 갖추려고 하는 것입니다.
연금으로서 비트코인을 꼭 가지고 있어야 할까요?
개인의 취향에 따라서 안전 자산으로서 금 etf 를 일정한 비율로 확보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자산 배분 투자를 할 때에 일반적으로는 40대 이상으로 나이가 들 수록 금 ETF 를 연금 자산의 10% 에서 20% 정도를 확보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우크라이나 전쟁이 발생하거나 중국과 대만의 군사적인 긴장이 높아지면 금 ETF 가격이 상승합니다. 나스닥 지수를 추종하는 ETF 가격은 하락하는데 반해서 미국 국채 가격과 금 ETF 가격은 반대로 상승하게 됩니다.
최근에 금 etf 가 아니라 비트코인 etf 를 사람들이 많이 매입하는 이유는 가격의 상승이 더욱 탄력적이기 때문입니다. 금 etf 도 최근에 20% 이상 가격이 많이 상승하였지만 비트코인 ETF 는 1년도 되지 않아서 80% 가까이 상승하였으므로 나스닥 100 지수가 하락하더라도 전체 연금 자산의 규모가 줄어드는 것을 방어하게 됩니다.
지난번 포스팅에서 트럼프 2.0 시대에 비트코인이 2억을 돌파할 수 있을 지에 대해서 자세하게 분석하였습니다. 아래 포스팅에서 자세한 내용을 다루고 있으니 꼼꼼하게 읽어보시고 비트코인에 대한 이해를 높이시기 바랍니다.
SCHD 와 QLD 및 비트코인 자산 배분 투자 기대 수익
매달 연금으로 저축 가능한 총 금액 중에서 SCHD 를 매입하는데 70% 를 사용하고 QLD 를 매수하는데 25%를 사용하며 비트코인을 매입하는데 5%를 사용하는 시나리오로 계산해 보았습니다.
SCHD 연 평균 수익 계산
2012년 8.67달러
2024년 11월 28.99달러
연평균 수익률=(28.99 – 8.67)/12년 = 1.7%
QLD 연 평균 수익 계산
2012년 2.55달러
2024년 11월 110.07달러
연평균 수익률=(110.7 – 2.55)/12년 = 9%
IBIT 연 평균 수익 계산
연평균 수익률=(51.05 – 27.94)/1년 = 83%
연금 자산 연평균 수익률
연평균 수익률 = 0.71.7 + 0.259 + 0.05*83 = 7.59 %
위 계산에서 SCHD 가 매년 3% 배당금을 지급하고 매년 10% 씩 배당금이 성장한다는 계산 내용은 생략하였습니다. 보다 자세한 분석과 백트래킹은 다음 포스팅에서 상세하게 다뤄볼 예정입니다.
마무리
노후 연금을 마련하기 위하여 매달 저축할 수 있는 금액 중에서 70% 자금으로 SCHD 를 매수하고 25% 자금으로 QLD 를 매수하고 남은 5% 자금으로 비트코인 ETF 를 매수하면 연 평균 7.6% 수익률을 거둘 수 있습니다. 72의 법칙을 적용하면 72/7.6 = 9.47 년이 지나면 연금 자산은 2배로 증가하게 됩니다.
미국 나스닥 100 지수가 2000년도 IT버블 붕괴 이벤트와 2022년 코로나 발생 이벤트까지 포함해서 백트래킹을 해보면 최대 하락률 ( Max Drawn Down : MDD ) 도 계산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MDD가 15% 이내로 들어온다면 연금 자산 배분 전략으로서도 상당히 안정적인 전략으로 볼 수 있을 것입니다.
SCHD 와 QLD 및 비트코인을 자산 배분해서 투자하는 방식을 살짝 변형하여 SCHD 와 QLD 및 달러 와 비트코인 과 금과 채권을 혼합하는 방식으로 더욱 다양하게 자산을 배분하면 MDD 는 더욱 낮아지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MDD가 낮아지면 반면에 수익률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어서 다음 포스팅에서는 더 많은 다양한 자산으로 배분하여 투자하였을 때 수익률도 검증해 보도록 하겠습니다.